POPULARITY

Recent posts created
by expert

즈식브자 [경제 연구소]

금융 시장의 불안정화로 인한 대규모 예금 인출 용어

뱅크런 경제 용어 알아보기 주말 잘 보내셨나요? 오늘은 악화되는 경제를 보다보니 생각난 용어 뱅크런(Bank Ru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11년 저축은행 7개가 동시에 영업정지 처분을 받은 사건을 기억하시나요? 이로인해 고객들은 저축은행에 대한 불신이 커졌고, 동시에 예금 인출사태가 발생하는 사례였는데요. 저희 부모님은 아직도 믿지 못한다고 하시네요. 1. 뱅크런(Bank Run)이란? 이처럼 예금자들이 은행에서 예금을 인출하기 위해 대규모로 몰려들어 예금을 인출하는 현상을 뜻 합니다. Bank + Run : 즉, 은행으로 달려간다는 의미로 생각하시면 더욱 이해가 쉬울 것 같네요. 2. 왜 이런 현상이 생길까? 독자 여러분들은 누군가에게 나의 자산을 맡긴다는 건 그 누군가에 대한 엄청난 신뢰가 필..

2020.09.07 게시됨

즈식브자 [경제 연구소]

2018년 대한민국 소비 트렌드, '플라세보 소비'

플라세보 소비, 소비 트렌드 용어 알아보기 2020년의 소비트렌드에 대해서 아시나요? 혼라이프와 싱글족이 증가한 2020년은 '1인 소비', '경험 소비', '모바일 소비'라는 키워드가 유행하고 있습니다. 2020년 소비 트렌드는 다음 글에서 알아보도록 하고 오늘은 2018년 대한민국 소비 트렌드인 '플라세보(Placbo-) 소비'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플라세보 소비(Placbo-)란? 위약(僞藥)을 뜻하는 '플라세보(Placebo)'와 소비가 결헙된 신조어 가격 대비 소비자에게 심리적 만족감이 큰 제품을 택한다는 뜻으로 '가심비'와 비슷합니다. 이는 기존 마케팅 업계에서 '소비자는 가격 대비 품질이 좋은 제품을 선택한다'는 '가성비'와 대비되는데요. 예를 들어, 자신이 애정을 가지는 대상(아이..

2020.09.06 게시됨

즈식브자 [경제 연구소]

두 개 이상의 은행이 융자해주는 일종의 집단 대출, '신디케이트론'

신디케이트론, 금융 경제 용어 알아보기 코로나가 나아질 듯 점점 심해지면서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가 다음 주까지 연장되어집니다. 코로나를 조심해야되는지, 사람을 조심해야되는지 모호해지는 이때 다들 건강 조심하세요. 오늘은 신디케이트론(Syndicated loan)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신디케이트론(Syndicated loan)이란? 최소 2개 이상의 은행이 차관단은 구성해 공통의 조건으로 일정 금액을 기업이나 국가 등에 융자해주는 일종의 집단 대출 2. 왜 필요한 걸까? 만약 기업이 대규모 프로젝트를 진행하거나 국가가 대규모 정책 사업을 추진하려면 막대한 자금이 필요합니다. 이는 자금을 어떻게 운용할 건지도 중요하지만, 자금을 어떻게 조달할지도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데요. 이처럼 막대한..

2020.09.05 게시됨

즈식브자 [경제 연구소]

코로나 시대에도 발생하고 있는 '피구 효과(Pigou Effect)'

피구 효과 경제 용어 알아보기 1. Who is Arthur Cecil Pigou? 피구 효과(Pigou Effect)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피구(Pigou)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피구(Arthur Cecil Pigou)는 영국 아일오브와이트 리드에서 1877년 11월생으로 태어난 영국의 경제학자입니다. 그는 후생경제학 분야를 연구한 학자로 유명합니다. 1908년 알프레드 마셜로부터 케임브리지대학교 정치경제학 교수직을 승계받고, 케임브리지 학파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인물입니다. (1920) 이라는 책을 저작하여 경제활동이 사회 또는 사회 내 다양한 집단 계급의 후생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해왔습니다. 그런 경제학자 피구가 만든 피구 효과는 어떤 걸까? 2. 피구 효과(Pi..

2020.09.04 게시됨

즈식브자 [경제 연구소]

10만원짜리가 3만원에 거래되는 저평가된 주식, Value stock

가치주, 주식 용어 알아보기 1. 가치주(Value stock) 란? 가치주란 기업의 현재 가치가 실제 가치보다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주식 즉, 현재 발생하는 주당 순수익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에 거래되는 주식을 말합니다. 쉽게 예를 들어보자면, 만약에 익스랩의 현재 가치는 포스팅 하나당 5만원 정도의 가치를 하는데 실제 구입가능 비용은 3만원에 구입할 수 있다면 이것을 가치주라고 합니다. 2. 어떤 투자자들이 선호할까? 가치주는 주로 투자심리 위축 등으로 크게 떨어지는 시기에 많이 생겨나는데 이는 성장주에 비해 주가 변동폭이 크지 않아 주로 방어적인 투자자들이 선호합니다. 주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기 때문에, 미국에 이어 한국에서도 저금리 시대의 투자 수단으로 부상한 바 있죠. 3. 주로 어떤 ..

2020.09.01 게시됨

즈식브자 [경제 연구소]

최우대 대출 금리 '(슈퍼) 프라임 레이트'

프라임 레이트, 슈퍼 프라임 레이트 경제 용어 알아보기 1. 프라임 레이트(Prime Rate)의 의미 프라임 레이트란 은행 등 금융기관이 신용도가 가장 좋은 고객에게 대출할 때 적용하는 최우대 금리이며, 이는 기업의 신용도에 따라 차등금리를 적용할 경우 가장 낮은 금리가 한 나라의 금리 수준의 지표가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금리자유화조치 이후 금융기관이 자금조달 코스트에 적정 마진을 붙인 금리에서 차등금리 폭을 빼는 방식으로 자율적으로 결정하고 있다. 따라서 일반 대출금리의 하한선이 되기도 한다. 이때, 슈퍼 프라임 레이트라는 용어가 나오게 되는데. 만약 자금수요가 작아 기업이 금리교섭에서 유리한 입장이 되면 프레임 레이트보다 더 낮은 슈퍼 프라임 레이트가 적용되게 된다. 2. 슈퍼 프라임 레이트(Sup..

2020.09.01 게시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