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디스트 vs 마조히스트, 나에게 맞는 감정은 따로 있다? | 감정 욕망 유형 테스트
익스랩 최고 관리자
·2025. 7. 3. 12:45
“나는 마조히스트일까, 아니면 세디스트일까?”
“이런 성향을 갖는 게 이상한 걸까?”
최근 검색량이 급증한 두 단어, 세디스트(sadist)와 마조히스트(masochist).
하지만 그 의미를 제대로 알고, 자기 감정과 연결시켜 본 적 있나요?
오늘은 단순한 자극이 아닌, 심리학 기반 자기 이해 콘텐츠로
당신의 ‘감정 욕망 유형’을 탐색해봅니다.
세디스트 vs 마조히스트, 무엇이 다른가?
→ 통제욕 vs 감정 방출 욕구
유형 | 정의 | 심리적 동기 |
---|---|---|
세디스트 | 타인의 반응(특히 고통, 복종 등)에 쾌감을 느끼는 사람 | 통제감, 우월감, 감정 주도권 욕구 |
마조히스트 | 자신의 고통이나 복종을 통해 감정적 카타르시스를 느끼는 사람 | 감정 해방, 안정감, 존재감 욕구 |
중요한 건 ‘고통’ 그 자체가 아니라,
그 감정 안에서 무엇을 느끼느냐입니다.
왜 우리는 이런 감정에 끌리는가?
→ 자존감과 감정 통제 욕구의 반영
심리학적으로 세디즘과 마조히즘은 다음과 같은 욕구의 변형일 수 있어요:
- 세디스트 경향:
→ 감정을 억제해온 사람, 관계에서 주도권이 필요했던 사람
→ 타인의 반응을 통해 감정을 표현하고, 자존감을 회복 - 마조히스트 경향:
→ 감정을 내면화하거나 죄책감을 많이 느끼는 사람
→ 통제된 고통 속에서 감정을 허용받으며 해방을 경험
👉 둘 다 ‘극단’이 아니라, 감정 욕구의 한 축일 뿐입니다.
자가 진단 | 당신은 어떤 감정 욕망 유형인가?
아래 항목 중 더 끌리는 쪽을 선택해보세요:
- 사람의 반응을 이끌어내는 게 좋다 vs 누군가의 틀 안에 있을 때 편하다
- 감정이 고조될수록 리드하고 싶다 vs 감정이 고조될수록 맡기고 싶다
- 성적인 상황에서 주도하면 흥분된다 vs 지배당하면 흥분된다
- 규칙을 만들고 통제하고 싶다 vs 규칙을 따를 때 안정감을 느낀다
결과 해석:
- A 선택이 많다면 → 세디스트 경향
- B 선택이 많다면 → 마조히스트 경향
- 균형형일 경우 → 스위치형 (유연한 감정 주도)
테스트는 참고일 뿐, 중요한 건 당신이 무엇을 ‘원하는가’입니다.
감정 조절과 성향은 연결되어 있다
→ BDSM은 감정 교육의 공간이 될 수 있다
세디스트든 마조히스트든, 결국 중요한 건 다음 두 가지입니다:
- 욕망을 안전하게 표현할 수 있는 구조가 있는가?
- 그 감정을 파트너와 소통할 수 있는가?
👉 BDSM은 단순한 성적 행동이 아니라,
감정 조절과 경계 설정, 자기 표현 훈련의 장이 될 수 있습니다.
결론 | 나는 내가 느끼는 대로 괜찮다
세디스트든 마조히스트든, 그것은 이상한 게 아닙니다.
당신의 감정에는 이유가 있고, 당신의 욕망에는 존중이 필요합니다.
중요한 건 어떤 감정을 선택할 것인가가 아니라,
그 감정을 어떻게 소통할 것인가입니다.
👉 감정 성향을 더 깊이 탐색해보고 싶다면,
전문 상담가와 함께 안전하게 시작할 수 있어요.
https://open.kakao.com/o/sgcofsCh
'BDS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왜 자꾸 마조히즘에 끌릴까? | 감정 중독과 자기애의 심리학 (1) | 2025.07.04 |
---|---|
BDSM은 PTSD 회복에 도움될까? | 감각 자극과 애착 회복의 정신 건강 효과 (1) | 2025.07.03 |
BDSM과 정체성 탐색 | 나다운 성적 취향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1) | 2025.06.30 |
섹슈얼하지 않아도 괜찮아 | 논섹슈얼 BDSM 관계의 심리학 (2) | 2025.06.29 |
디지털 피로에 지친 당신에게 | BDSM이 주는 감각 몰입 회복법 (1) | 2025.06.28 |